이런 유머가 있다.
한 아이가 있는데 , 이 아이는 태어나서 말을 배우기 시작 할 때부터 [ㅏ]자 발음을 못하는 것이다.
마치 경상도 사람들이 [쌀]발음을, [살]이라고 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나 할까?
또 전라도 사람들이 [의]자 발음을, [으]라고 발음 하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겠다.
난 서울 사람이라, 서울 사투리를 들으면 대번에 안다.
아버지는 학교 다녀오면 꼭,
"핵교 댕겨왔니?"라고 말씀하셨다. 그래서 하루는 아버지께,
"학교라고 해보세요."
"학" 하니 "학"이라고 따라하셨다.
그 다음에, "교"하니 "교"라고 하셨다.
"그럼 이제 학교라고 해보세요."라고 했더니, 다시 "핵교"라고 하셨다.
그 때부터 어릴 때 배웠던 발음체계는 잘 바뀌지 않는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성경에도 이런 발음 때문에 일어난 사건이 있다.
사사 시대에 입다라는 사사(이스라엘 역사에서 왕제도가 있기전에 이스라엘의 지도자를 사사라고 한다)가 있었다.
사사 입다가 암몬과 전쟁을 했는데 에브라임 사람들에게 지원을 요청했다.
하지만 에브라임은 거절했다.
그런데 전쟁에서 이겼다.
그때서야 우리도 지원하려고 했는데 왜 부르지 않았느냐고 따졌다.
그 때 괴씸하게 생각했던 입다는 길르앗 사람들을 모아서 에브라임 사람과 싸우게듼다.
에브라임 사람은 불리하게 되자,
살아 남으려고 요단강을 건너가게 해 달라고 간청을 하게된다.
그러나 길르앗 사람들은 에브라임 사람이 발음하기 힘든 [쉽볼렛]이라고 말하게 해서 [십볼렛]이라고 발음하면 쳐서 죽였다. 발음하나 잘못해서 죽었다면 비극이 일어난 사건이다.
아무튼 각설하고 [ㅏ]자 발음을 못하는 아이는 [ㅏ]는 모두 [ㅣ] 발음으로 말하는 것이었다.
엄마가 "얘야 일어나서 학교 가야지."하면,
"일있어 엄미."하는거다.
학교를 가려고 집을 나서면서 한다는 말이,
"힉교 디녀오겠습니다."한다.
친구 창수 집에 들러서 학교가자고 할 때도,
"칭수야, 힉교기지."한다.
'학교'는'힉교'로,
'부동산'은,'부동신'으로
'가자'는, '기지'로 발음을 했다.
그래서 이 [ㅏ]자 발음을 알아듣는 사람은 그의 가족과 친한 친구들밖에 없었다.
이제 이 친구가 자라서 늠름한 청년이 되었고, 국방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 육군의 자랑스런 보병으로 입대하였다.
그런데 [ㅏ]자 발음 못하는 군인이 보초를 서는데서 사달이 났다.
군에서는 암호가 있다.
아군을 보호하고 적이나 스파이를 분별하기 위해 암호는 매일 바뀐다.
그날은 암호가 [자동차, 고구마]였다.
이 [ㅏ]자 발음 못하는 군인이 보초를 교대하러 갔다.
보초교대하려는 군인이 일단 세운다.
"거기 서라."하면서 사격 자세를 취했다. "암호를 대라. 자동차"
그러면. 대응으로,"고구마"라고해야한다. 그런데, "고구미"라고 말했다.
좀 이상하게 생각한 보초는, 고구마이긴 한데 조금 비슷하긴 하지만....이라 생각하면서 고개를 갸우뚱 한다.
그리고 다시 말한다.
"암호를 대라. 자동차."
다시 돌아온 암호는, 전과 동일했다. "고구미"
이제 이놈은 간첩이다라고 생각한 보초군인은,
"다시 한번 기회를 주겠다. 이번에도 틀리면 쏘겠다. 암호를 대라. 자동차."하니까. 돌아온 대답은, 역시나,
"고구미"였다.
확신에 찬 군인은 총을 쐈고,
이 [ㅏ]자 발음 못하는 군인은 죽었다.
그런데 죽으면서 하는 말이 가관이었다.
"이 시빌놈이 고구미리니끼."
우스운 유머다. 하지만 뼈가 있지 않은가?
경상도 사람 한분이, 어떤 일을 하고나서, "욕봤심데이"하는 것이었다.
그 뜻을 몰랐던 나는 기분이 나빴다.
당연히 감정도 상했다.
얼떨떨하게 있는 나에게 옆친구가
"수고했단 말이야"라고 귀뜸을 해주었다. 그제서야 내가 그 말을 오해했다는걸 알았다.말과 글, 즉 언어란 왜 있는걸까?
소통을 하기 위해서이다.
내가 한 말을 상대방이 알아듣고는 있는걸까?
부모가 자식에게, 자식이 부모에게 하는 말이 교통이 되고 있는가?
남편과 아내 부부사이에 대화가 진심으로 오가고 있는가?
다시 한번 무수한 많은 말 속에서 공감이 되고 , 서로 언어가 통하고 상식이 통하는 그런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다.
Copyright 2020. 내삶속리뷰 All rights reserved.
'라이프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 기르기] 7 [Raising a cat] [고양이의 생활 엿보기][a peek into a cat's life] (62) | 2020.06.15 |
---|---|
토끼가 은행을 가다 (61) | 2020.06.07 |
소통 (39) | 2020.05.30 |
[고양이 기르기] 6 [Raising a cat] 6 [고양이 화장실][Cat’s toilet] (48) | 2020.05.29 |
[고양이 기르기] 5 [Raising a cat] 5 [고양이 발바닥의 특징][Features of cat paws] (27) | 2020.05.25 |
[고양이 기르기] 4 [복이와 운이] [Raising a cat] 4[Lucky and Fortune] (68) | 2020.05.19 |
ㅋㅋㅋ 저도 경상도 토박이인데 아직도 저말을 써요 특히 시골에서 집으로 돌아갈때 도와주신 이웃 어르신께 늘 고맙다고 말하며 할배 욕봤심니데이 합니다 ㅎㅎ 할배고생많으셨어요 지요 ㅎㅎ 경상도 말은 언어가 날것처럼 거친게 많은거 같아요 :)
제가 처음에 경상도 분들하고 얘기할 때 한 마디도 못알아들어서 아주 난감했었어요. 크 지금은 그래도 조금은 알아들어요. 좋은 주말 되세요.
사투리는 다 알아듣기 좀 어려워요. 그래도 많이 드라마나 개그에서 이용되서 이젠 좀 이해되는 듯해요.
예, 어느신들 서로 얘기하는건 하나도 못알아듣겠더라구요..ㅎㅎ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주말 건강하고 즐겁게 보내세요.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다양성이 보장된 사회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아, 그거 좋은 고견이신데요!
감사합니다. 좋은 주말 평안한 주말되세요.
사실 제가 경상도 출신이라 . .사투리 바꾸기가 여간 쉽지가 않더라고요 . . 덕분에 좋은 글 잘 보고 갑니다. : )
아. 그러시군요. 그냥 내 말투가 멋지다고 생각하시면, 그게 더 좋은 것 같습니다.
다름을 받아들이는게 그렇게 어렵나 싶을때도 있죠.^^
뭐든 내 기준에서 받아들이다보니 그런게 아닐까 싶기도 하네요.
잘보고 갑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읽어주시고 공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는 다르면 적으로 모는 습성이 있습니다. 이런걸 빨리 탈피해야 하지 않나싶어요. 즐거운 주말 되세요.
저도 계속 수도권에서 살아서 그런지 사투리는 어렵더라구요 ㅎㅎ
예, 사투리가 세면, 싸우는 줄 알지요. 제가 경상도에 갔을 때 아침에 싸우는 소리에 잠이 깼거든요. 근데 글쎄 밖을 보니까, 아줌마 둘이서 그냥 얘기하는거 있죠. 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재밌네욬ㅋㅋㅋㅋ
저도 사투리 써보고 싶네용 ㅎㅎ :D
ㅎㅎ 저도 강원도에서 서울에 대학갔을때 선배들이 그렇게 사투리를 시키더라구요
재미있어나보죠. 참 경상도 상사가 제가 쓰는 서울사투리를 보고 엄청 웃었어요. 말이 그게 뭐냐고, 흠. 전 그냥 어렸을 때부터 썼던 건데 말이죠.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재밌으면서도 뭔가를 생각하게끔 하는 글이었어요.
잘 읽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늘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고, 평안하시고, 쉽을 얻으시고, 보람있는 주말을 보내시기 바랍니다.
대화법이 중요한게 아니지만 서로 이해하는게 달라지니 웃기기도 오해가 생기기도 정답이 없네요.ㅋ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아이들과 많이 이야기하다보니, 제가 좀 어려지는 것 같습니다. 아이들은 웃긴 얘기를 꼭 해달라니 그런 쪽으로 준비를 많이 하게 되는 군요. 오늘도 1학년 아이가 저에게 이렇게 묻더군요. 산이 있는데 나무가 없고 강이 있는데 물이 없는 것은? 못맞추니까, 신이 나서, 정답은 "지도"이러더라구요. 실컷 웃었습니다. 주말 잘 지내세요.
아 정말 좋은말씀 입니다. 말을 한다고 다 소통이 되는것은 아니죠.
일단은 상대를 이해하려 하는게 소통의 기본이라는걸 다시 깨닫게 해주셨네요.
하트와 구독버튼 꾸욱 누르고 갑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읽어주시고, 공감해주시니 정말 고맙습니다. 좋은 밤 되시고, 평안한 주말 되시기를 바랍니다.
느낌탓인가..
님 글이 점점 더 세련되게 보입니다. 특히 마지막 문구 당신이라서 참 좋타가 맘에 드네여 ㅎ
아, 제가 캘리그라피를 배우고 있어요. 그래서 엽서에 써봤어요. 엽서에 쓴 것을 사진찍어서 올렸습니다. 좋은 글을 쓰다보니까, 힐링되는 느낌인데, 오늘 딱히 올릴 사진이 없어서 제가 쓴 걸 올려보았어요. 맘에 드신다니 고맙습니다.
주말 잘 지내세요.
ㅎ ㅎ 잼있네요... 저는 나이가 들수록 발음이 새네요...입에 연필물고 다시 연습해야할듯...^^;;
하하!!
꼭 그럴 것 까지는 없으실 것 같은데요.
근데 저도 발음이 조금씩 새요. 저도 연필물어야 할까봐요.
주말을 복받으시고, 즐겁게 보내시기를 바랍니다.
늙어가는게 아니라 익어간다는 말에 걸맞는 사람이고 싶네요~
예, 제가 요즘 캘리그라피를 배우고 있어서 엽서에다 써봤습니다. 좋은 글을 캘리그라피로 쓰니까, 마음도 정화된다는 느낌은 받네요.
좋은 주말되시고, 더욱 건강하시고, 평안한 날 되시기를 바랍니다.
좋은 글이네요.
위 답글보니 직접 쓴 캘리그라피이군요.
우와~못하시는게 뭘까요!!!
저도 혼자서 조금씩, 조금씩 쓰고 있는데 ㅋㅋ
우연한 기회에 캘리그라피를 배우게 되었어요. 처음에는 선긋기부터 하다가 얼마전에 자격증을 땄어요. 근데 아직 더 많은 연습을 해야되죠. 또 그림도 배워야 하는데 코로나 때문에 잠시 멈춰있어요. 캘리그라피도 할수록 어려운것 같아요.잘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야 고구미 오랜만에 읽어 봤네요.
예전에 이런 농담들이 참 많았는데 말이죠. ^^
상식이 통하는 사회. <- 이게 당연한 줄 알았는데 당연하지 않더라고요.
상식이라는 게 "사회의 구성원이 공유하는, 당연한 것"이라는데 이 당연한 것이 사람마다 너무 다를 수 있다는 걸 느낄 수 있는 요즘이네요. ㅡㅡ;
예, 맞습니다. 서로의 생각이 다르면 상식도 다르다고 생각할 수 있겠네요. 저도 공감합니다. 이것 때문에 대화가 필요한 것이겠죠.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받아들이기, 어렵지만 말이죠.
감사합니다. 좋은 저녁 보내시기 바랍니다.
공감되는 글 잘 읽고 갑니다. 즐거운 한주 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즐거운 저녁되세요.
서로의 언어가 통하고 상식이 통하는 그런사회 공감합니다. 즐거운 하루되시고 맞구독하고 갑니다.
이제야 봤어요. 감사합니다. 종종 들릴께요.
좋은글이네요! 심적으로 안정이됩니다! 구독하고갈게요! 즐거운 하루되세요!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정이 있어서 오랫동안 포스팅하지 못했어요. 이제 다시 기지개를 펼까해요.